CDN (Content Delivery Network)
- 사용자에게 Contents data 를 보다 효율적이고 빠르게 배포,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Network system
- 웹 페이지의 로드 속도를 높이기 위해(통신 지연 속도를 낮추기 위해) 각 노드가 상호 연결되어 있다.
- 사용자와 Server 가 지리적으로 먼 거리에 떨어져 있을 경우, 대용량 파일을 로드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림
- CDN 은 지리적으로 사용자와 가까운 서버에 Contents data 를 저장해 둠으로써, 웹 페이지의 로드 속도를 높임
- 트래픽이 폭주할 경우 발생하는 네트워크 혼잡 문제나 병목 현상을 해결한다.
- CDN 을 사용하지 않으면, 전 세계의 모든 Request 가 원본 서버에 집중된다.
- CDN 을 통해 사용자의 Request 를 지리적으로 가까운 분산 노드로 보내 원본 서버의 부하를 줄인다.
Object Storage
- 클라우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계층 없는 데이터 저장 방법
- 디렉토리 트리를 사용하지 않고 Object 라는 개별 데이터 단위(Flat 구조)로 데이터를 저장한다.
- 인터넷상에서 언제 어디서나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사용할 수 있다
- 접근이 빠르고 확장성이 높다
- Meta data 에 사용자가 원하는 상세한 정보로 추가할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검색이 용이하다
- 각각 Object 가 고유 식별자 키가 있어, 독립적인 저장소 역할을 한다.
- 단점으로 Object 수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, 덮어쓰는 방법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변경한다.
LB (Load Balancer)
- 서버에 가해지는 트래픽을 여러대의 서버(Computing resources)에 균등하게 분산시켜주는 역할을 함
- 트래픽이 적을 경우에는 한 개의 서버로 트래픽을 충분히 처리할 수 있음
- 하지만, 한 개의 서버가 처리할 수 있는 트래픽을 초과하는 요청이 발생되면, 서버가 다운되어 서비스가 멈추게 됨
- Scale-out 방식을 통해 많은 수의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처리한다.
- Scale-up : 서버의 성능을 향상시켜 다수의 트래픽을 처리함
- Scale-out : 서버를 여러대로 나누어서 다수의 트래픽을 처리함
- 서버 성능을 향상시키는 비용보다, 서버를 한대 추가하는 비용이 더 경제적임
- 여러 대의 서버를 사용함으로써 무중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.
- AWS 에서 LB 사용 시 IP Address 가 자주 변경되기 때문에, Domain Address 기반으로 사용해야 한다.
Primary DB
Standby DB
Read Replicas DB
'🛠 Engineering > 각종 용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Batch processing (Batch job) (0) | 2022.08.20 |
---|
댓글